OOCI(Open Optics Camera Interface Standard) 표준이란?
OOCI(Open Optics Camera Interface Standard) 표준은 카메라 내부 기능과 장착된 광학 부품의 제어에 관한 기능을 modeling 하고 소개합니다. 여기서 ‘장착된 광학 부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렌즈가 있습니다.

OOCI 표준의 도입 배경
카메라와 렌즈는 필수불가결한 관계입니다. 거의 모든 경우에서 카메라는 렌즈와 결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며, 카메라와 렌즈의 종류 또한 정말 다양합니다. 산업용 카메라와 함께 사용되는 렌즈는 카메라의 마운트 크기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EF 렌즈입니다. (EF 렌즈란?)
EF 렌즈의 강력한 장점은 렌즈 control program을 통해 렌즈의 조리개나 초점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손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게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제조사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렌즈를 컨트롤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왔습니다. 저희 뷰웍스도 카메라 동작과 AutoFocus와 AutoExposure와 같은 렌즈의 동작을 한 개의 프로그램에서 제어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렌즈의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AutoFocus 기능을 통해 초점을 맞추었고, AutoExposure 기능을 통해 원하는 밝기 값에 맞는 조리개 값이 설정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여기서 문제는 렌즈에 설정된 실제 조리개 값이나 초점거리 등은 유저가 알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프로그램에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표준이 없기 때문에 수치의 기본 단위나 표현 방법이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Exposure time 값이 제조사마다 다르다면 어떻게 될까요?
A 제조사는 second 단위로, B 제조사는 millisecond 단위로, C 제조사는 microsecond 단위로 제공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심지어 어떤 D 제조사는 Exposure time을 Shutter time 이라는 명칭으로 표기하고, 단위를 second 단위로 제공한다면 카메라를 사용하는 유저입장에서 가장 난처할 것입니다. 제조사마다 어떤 기능을 어떤 이름과 단위로 정의하는지 확인을 해야하며, Parameter Type을 일일히 파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행스럽게도 현재 모든 머신비전용 카메라는 EMVA에서 정립하는 GenICam 표준에 기반하여 개발되고 있습니다.
카메라의 제조사는 다르더라도 ‘Exposure time 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야 하며, microsecond 단위이어야 한다’ 라는 규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

OOCI 표준의 기대 효과
결과적으로 유저는 제조사마다 다르게 구분할 필요 없이, 표준에 기반하여 카메라와 렌즈에 설정된 값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렌즈도 카메라처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표준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머신비전을 처음 도입하려는 유저에게 가장 어려운 것중 하나가 렌즈입니다. 렌즈의 스펙이나 평가요소는 굉장히 다양하지만 카메라에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가 직접 측정을 통해 해결해야하는 불편한 사항도 존재합니다.
OOCI 표준의 궁극적인 목표는 렌즈의 정보를 카메라에서 확인하여 보다 편리하게 셋팅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렌즈의 모터 값을 기반으로 초점거리, 조리개 값, 배율, 물체-센서간의 거리 등의 정보를 카메라 파라미터 창에서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게 가능해진다면 유저들은 기존보다 매우 편리한 사용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표준에서 제공하는 기능
표준에서는 대표적으로 Aperture, FocusAuto, ObjectSensorDistance, FocalLength, Shutter, Filter, Magnification 에 관련된 정보를 정의합니다.
파라미터별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Name, Category, Level, Interface, Access, Unit, Visibility, Values 를 정의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pdf를 다운받은 후 426 페이지를 참고바랍니다.
https://www.emva.org/wp-content/uploads/GenICam_SFNC_v2_7.pdf
Comments are closed.